세금9 소득세와 부가가치세 뜻, 사례 알아보기 오늘은 소득세와 부가가치세 뜻과 사례를 알아보겠습니다. 세금과 친해지려면 가장 먼저 알아야 하는 세금의 종류 중 하나입니다. 우선 소득세는 국세이며, 직접세입니다. 소득세는 개인소득세와 법인소득세로 나눌 수 있는데, 법인소득세는 법인세법에 따라 법인세로 부과되므로, 소득세법에 의한 소득세는 개인소득세만을 의미합니다. 소득세법에 따른 거주자와 비거주자는 소득세를 납부할 의무를 집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상점을 운영하시는 엄마가 내는 소득세 엄마는 옷가게를 하여 돈을 버십니다. 엄마가 옷을 팔아서 받은 돈을 ‘수입’이라고 하고, 옷을 팔기 위해 들어간 돈(예 : 옷 구입비, 가게월세, 관리비, 전기요금 등)을 ‘비용’이라고 하며, 수입에서 비용을 뺀 금액을 ‘소득’이라고 합니다. ‘소득세’는 이러한 소득.. 2022. 12. 29. 세금이란 개념이 생겨난 이유 안녕하세요. 세알남입니다. 인류는 언제부터 세금을 내기 시작했을까요? 그리고 세금이란 도대체 어떤 개념일까요? 오늘은 세금이란 개념이 생겨난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상에서 자주 마주치지만 쉽게 알지 못했던 세금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시죠! 우선 인류의 역사는 공동체를 통해 발전해 왔습니다. 인류는 공동체라는 사회 집단을 형성하고 구성원 모두가 협력하면서 맹수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났으며, 분업을 통해 필요한 물품을 좀 더 쉽게 얻을 수 있었습니다. 공동체 생활을 통해 의·식·주와 관련된 문제를 좀 더 효율적으로 해결한 것입니다. 석기를 주로 사용했던 원시 부족 사회에서는 필요한 물품을 공동으로 생산하여 구성원들이 나누어 가졌습니다. 풍요로운 삶을 지향했던 인류는 농경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고 점차.. 2022. 12. 29. 납세의 의무, 왜 세금을 낼까? 안녕하세요 세알남입니다. 오늘은 세금 납부가 왜 국민의 의무인지, 세금 내는 이유는 무엇인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오늘날 국가는 눈에 보이거나 보이지 않는 많은 일을 하고 있습니다. 개인이나 단체들이 스스로 해결하기 어려운 대부분의 문제들은 국가가 해결하는데, 이때 국가가 국민의 삶을 더욱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를 공공 서비스라고 부릅니다. 외국의 침략으로부터 나라를 지키는 일, 도둑·강도 및 내부의 혼란과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는 일이 국가가 제공하는 가장 기본 적인 공공 서비스입니다. 그리고 국가는 사회간접자본(SOC) 건설이나 일자리 창출 등으로 경제를 활성화하는 일을 비롯해 국민의 풍요롭고 행복한 삶을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 빈부 격차가 심해지지 않도록 생활 형편이 어려운 .. 2022. 12. 28. 증여세 관련 꼭 알아둬야 할 정보 (ft. 자녀, 배우자 증여재산공제 한도, 부동산) 안녕하세요 세알남입니다. 부모가 자녀에게 재산을 물려주는 것을 흔히 증여라고 합니다. 국가에서는 그 증여에도 세금을 부과합니다. 내 돈을 내가 내 자식에게 주겠다는데 세금을 떼간다니 참 웃기죠? 하지만 그것이 국가의 역할이라고 합니다. 일각에서는 나라가 도둑놈이라는 우스갯소리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아무튼 증여세는 우선 증여재산공제 한도를 잘 알아둬야 합니다. 증여재산공제 한도는 배우자가 6억 원, 성인 자녀에게는 5000만 원, 미성년 자녀에게는 2000만 원까지입니다.. 단, 이것은 10년 동안 합산한 금액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만약 올해 성년이 된 자녀에게 1억 원을 증여했다면 내년부터는 5000만 원만 공제받을 수 있다는 말입니다. 나머지 5천만 원에 대해서는 증여세가 붙는 거죠. 그리고 또.. 2022. 12. 22.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