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의 종류 알아보기, 합법적으로 절세하는 방법
기업이나 개인이나 절세는 가장 중요한 재테크 수단입니다.
흔히 절세를 통한 자금 축적을 세테크라고 부르는데요. 세테크 개념이 아직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절세라는 말이 불법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절세는 지극히 합법적이고 정당한 것임을 미리 밝힙니다. 그렇기 때문에 세금을 아끼는 방법을 굳이 숨길 필요는 없습니다. 그래서 제가 여러분께 합법적으로 세금을 줄이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합법적으로 세금을 줄이는 절세 행위를 하기 위해서는 우선 세금 계산의 원리를 알아야 합니다. 세금 계산 원리를 알면 곧 세테크가 쉬워지기 때문이죠. 아, 우선 세금 계산 원리를 알기 위해 세금의 종류부터 알 필요가 있습니다. 세금의 종류는 정말 다양하지만 국세와 지방세 등 대표적인 것만 알아도 상위 10%는 될 겁니다.
우선 앞서 말했듯이 세금은 크게 국세와 지방세로 나뉩니다. 말 그대로 국가가 나서서 거두는 세금이 국세, 지방자치단체가 나서서 거두는 세금이 지방세입니다. 이런 세금은 국가를 운영하거나 지방자치단체를 유지, 운영하는데 매우 중요한 재정 수단입니다.
이제 일상 속에서 밀접하게 마주칠 수 있는 세금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소비 행위에 붙는 부가가치세와 개별소비세
부가가치세는 편의점에서 과자 한 봉지를 사면서 지불하는 물건값의 10%를 말합니다. 개별소비세는 자동차를 구입할 때 부가가치세를 제외하고 별도로 내는 세금을 말하죠. 이러한 세금을 소비세라고 부르는데 소비를 하는 사람이라면 무조건 내야 합니다. 반대로 굳이 소비를 하지 않으면 내지 않아도 되는 세금입니다.
소득에 붙는 근로소득세와 사업소득세
근로소득자는 근로소득세, 자영업자는 사업소득세, 부동산 임대업자는 임대소득세가 붙습니다. 여기서 부동산 임대업자, 혹은 부동산을 파는 사람은 부동산을 파는 과정에서 양도소득이 발생하면 양도소득세가 붙습니다. 우리가 살면서 한번쯤은 지불할 세금들이죠.
근로자, 사업자, 임대업자는 각각 소득의 크기가 다릅니다. 그래서 소득세는 한정된 시간 동안 누가 얼마나 더 많은 이익을 벌어들일 것인가를 좌우하는 경쟁 요소의 하나인 소득에 부과되는 세목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재산 이전에 따라붙는 상속세와 증여세
부모가 죽은 뒤 재산을 자식에게 이전하는 것을 상속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부모가 살아 있을 때 자식에게 무상으로 재산을 준다면 이건 증여가 됩니다. 부모와 자식 관계가 아니더라도 위의 과정을 대입하면 상속과 증여라고 합니다. 이때 상속은 상속세가 증여는 증여세가 붙습니다. 이러한 상속과 증여는 같은 세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불공평한 일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증여와 상속에 붙는 세금은 정당하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부모를 잘 만나는 것도 실력이라는 사회적인 인식이 넓어지고 있어서 상속세와 증여세를 없애자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세금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